경복궁이 달라졌다.
인왕산 둘레길을 걷고나서 경복궁을 둘러본다.
경복궁
사적 제117호. 조선의 정궁으로 북쪽에 자리 하고있어 북궐로도 불린다.
조선왕조를 연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1395년(태조5) 창건된 조선의 법궁이다.
1543년(중종38) 동궁에서 일어난 화재와 1553년(명종8)에 일어난 내전 일곽의 화재로 많은 피해를 입었으나 이듬해 복구되었다. 임진왜란 때 모든 건물이 불 탄 후 270여년간 폐허상태로 있다가 1865년(고종2)에 흥선대원군이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대규모 재건 공사를 시작하여 1867년 재건했다. 1904년 이 곳에 조선통감부가 들어섰고, 1917년 창덕궁의 대규모 화재 뒤, 이를 복구하기 위해 많은 건물이 해체되었다.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
북관대첩비
흥례문
광화문
1395년(태조4) 창건되어 정도전에 의해 사정문으로 명명되었으나, 1425년(세종7) 집현전에서 광화문으로 바꾸었다.
광화문의 현판 글씨는 중건 당시 경복궁 훈련대장이던 무관 임태영임이 경복궁 영건일지에 의해 밝혀졌다.
광화문 수문장 교대식
근정문
보물 제812호. 근정문 좌우의 동쪽에 문신이 드나드는 일화문과 서쪽에 무신이 드나들던 월화문이 보인다.
근정전
국보 제223호. 1867년에 중건된 경복궁의 정전으로서, 왕이 조하를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국가의 중요 의식을 거행하던 곳이다.
천추전
강녕전
왕이 독서와 휴식, 신하들과 면담을 하던 곳이다. 1995년 복원하였다.
교태전
왕비가 거처하면서, 궁 안 생활을 총지휘하던 곳이다. 1918년 강녕전과 교태전을 뜯어 창덕궁으로 옮겨 사라진 것을 1995년 복원하였다.
북궐도
아미산
경회루의 연못을 판 흙을 쌓아 돋운 작은 가산이다.
보물 제811호인 아미산 굴뚝이 있다.
아미산 굴뚝
아미산 굴뚝은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의 온돌방과 연결된다. 1865년(고종2) 경복궁 중건 때 만들었다.
복원 예정인 흥복전 전경
향원정
향원정; 보물 제 1761호.
향원정과 취향교
취향교;목교로서, 1873년에 설치되었다.
경회루
국보 제224호. 외국사신이나 군신간의 연회 장소.
2014년 5월
친우 정규랑 경복궁 야경을 보러갔다.
영제교
2001년에 복원된 근정문 앞을 흐르는 금천에 설치된 다리.
유화문
수정전(옛 집현전)
휴게소
경회루 야경
'국내여행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종즉위40년 칭경기념비 (2014년 2월) (0) | 2014.02.26 |
---|---|
명동성당 (2014년 2월) (0) | 2014.02.25 |
남산길 산책 (2014년 2월) (0) | 2014.02.07 |
파고다공원/인사동 (2013년 10월) (0) | 2013.12.08 |
덕수궁 (2012년 12월) (0) | 201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