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트레킹/45트레킹

동구릉 (2025년 6월)

바위다섯 2025. 6. 27. 23:17

45트레킹팀의 6월 행선지는 동구릉이다.

8호선 동구릉역이 새로 생겨서 동구릉 가는 교통편이 좋아졌다. 10시반에 동구릉역에서 모였다.

구리 동구릉

동구릉 숲길이 개방 중이다.

15명의 멤버들이 함께했다. 트레킹팀에 처음 출석한 안진규 사장의 모습도 보인다.

재실

숭릉 연지

숭릉.

숭릉은 조선 제 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릉이다. 현종은 효종의 아들로 역대 조선 국왕중 유일하게 외국(청나라 심양)에서 태어났다.

숭릉 정자각.

1674년에 지은 건물로, 조선왕릉 정자각중 유일하게 남은 팔작지붕의 건물로 보물로 지정되었다.

혜릉.

조선 20대 경종의 첫번째 왕비 단의왕후의 릉이다. 단의왕후 심씨는 경종이 즉위하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 

경릉.

조선 24대 헌종과 첫번째 왕비 효현왕후, 두번째 왕비 효정왕후의 능이다. 경릉은 헌종과 두 황후의 봉분 3개가 나란히 놓인 모습으로 , 이러한 형식의 능은 조선 왕릉중 유일하다.

7월에 미국으로 가는 병규 멤버..

원릉.

조선 21대 영조(재위 1724~1776)와 두번째 왕비 정순왕후의 능이다.

현릉.

조선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능이다.

건원릉.

조선 1대 태조(재위 1392~1398)의 능이다. 건원릉의 봉분은 다른 왕릉과 달리 잔디가 아닌 억새(청완)로 덮여 있는데, '인조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태조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북도(함흥)의 억새를 덮은 것이라 한다.

수릉.

추존 문조와 신정왕후의 능이다. 문조는 순조의 아들로 2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시호를 효명세자라 하였고, 아들 헌종이 즉위 후 익종으로 추존 되었고, 대한제국 선포후 황제로 추존되어 묘호를 문조로 바꾸었다. 

동창마을

점심식사한 곳.

식사후 카페 동구릉에서 커피타임.

동구릉역으로 가는 길.